위시리스트에 추가
정치에 관한 9가지 철학적 성찰
| 강좌 제목 | 가을 특강: 정치에 관한 9가지 철학적 성찰 | ||||||||
| 담당 교수 | 김진성, 박정하, 임경석, 최한빈, 변광배, 정지은, 김정아, 홍기숙, 조광제 | ||||||||
| 강의 기간 | 10월 23일 ~ 12월 18일 종강 (총 9강) 수강료: 16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2만 8천원), 부분수강: 1회당 2만원 | ||||||||
| 강의 시간 | 매주 목요일 19:00 ~ 21:00 (2시간) | 강좌 유형 | 온/오프라인 병행 (다시보기 제공) | ||||||
| 강의 개요 | |||||||||
| 강사 소개 | 김진성(정암학당), 박정하(성균관대), 임경석(광운대), 최한빈(백석대), 변광배(한국외국어대), 정지은(홍익대), 김정아(철학아카데미), 홍기숙(숭실대), 조광제(철학아카데미) | ||||||||
| 강의 순서 | |||||||||
| 1강 | 플라톤의 철인왕: 철학자는 통치자가 될 수 있을까? (10월 23일)_김진성 | ||||||||
| 2강 | 약자를 위한 자유주의: 밀의 <자유론> 읽기 (10월 30일)_박정하 | ||||||||
| 3강 | 왜 여전히 마르크스인가? (11월 6일)_임경석 | ||||||||
| 4강 | 막스 베버의 개신교와 자본주의 (11월 13일, 온라인)_최한빈 | ||||||||
| 5강 | H.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 ‘잉여존재’와 ‘폭민’ 개념을 중심으로 (11월 20일)_변광배 | ||||||||
| 6강 | 역사적 우연성과 타자들과의 공존으로서 정치: 메를로퐁티의 정치사상 (11월 27일)_ 정지은 | ||||||||
| 7강 | 푸코의 통치성, 알랭 브로싸의 문화적 통치성 (12월 4일)_김정아 | ||||||||
| 8강 | 알랭 바디우의 ‘진리 절차’로서의 정치: 정치철학에 반대하여 (12월 11일)_홍기숙 | ||||||||
| 9강 | 기독교와 파시즘: 볼테르와 바타이유 (12월 18일)_조광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