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리스트에 추가
현상학적 질적 연구법과 글쓰기
강좌 제목 | 현상학적 질적 연구법과 글쓰기 | ||||||||
담당 교수 | 유혜령 | ||||||||
강의 기간 | 1월 9일 개강 ~ 3월 20일 종강 (총 10강) 수강료: 30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24만원) | ||||||||
강의 시간 | 매주 목요일 19:00 ~ 22:00 (3시간) | 강좌 유형 | 온라인 전용 | ||||||
강의 개요 | 질적 연구는 좋은 예시 논문과 글쓰기 샘플을 통해서만 그 원리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강좌에서는 Max van Manen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법(2023년 증보판)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현상학적 연구 논리와 글쓰기 샘플 및 예시 논문들을 공부한다. 여타 질적 연구 유형과 확연히 구별되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특징과 글쓰기에 대한 식별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 ||||||||
강사 소개 | University of Alberta(캐)에서 교육학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출신교의 질적연구 학풍을 한국의 아동교육 분야에 접목하여 교육 현상을 인문학적 깊이로 이해하는 데 노력하였다. 현상학·해석학적 접근과 포스트구조주의적 사유에 기반한 질적연구를 통해 아동과 교사의 교육적 실존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 ||||||||
교재 | ○ 강의록 제공됨.
○ 참고문헌: van Manen, M. (2nd ed.)(2023). Phenomenology of practice: Meaning-giving methods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writing. New York & London: Routledge. |
||||||||
강의 순서 | |||||||||
1강 | 체험(lived experience)에 기반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
2강 |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글쓰기 샘플(시선의 현상학, 이름을 잊은 경험, 접촉의 경험 등) | ||||||||
3강 | (상동) | ||||||||
4강 | 코딩, 심리분석, 기계적 절차가 아닌 현상학이란 이름의 방법 | ||||||||
5강 | 일화와 이야기의 중요성 | ||||||||
6강 | 언어와 경험을 불러일으키기 | ||||||||
7강 | 철학적 방법: 에포케와 환원 | ||||||||
8강 | 인간과학 방법: 경험적 작업과 반성적 작업 | ||||||||
9강 | 방법론적 이슈들: 진리, 타당성, 일반화 등의 문제 | ||||||||
10강 | 예시 논문 읽기 |
1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원리
1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유명 고전들과 연구 주제들
1
van den Berg의 “대화 (The Conversation)”
1
van den Berg의 “병상 경험 (Sick in Bed)”
1
van Lennep의 “호텔방 (The Hotel Room)”
1
Buytendijk의 “아기의 첫 미소 (The first smile of the child)”
1
Langeveld의 “어린이 삶에서의 비밀 장소 (“The Secret Place” in the Life of the Child)”
1
Langeveld의 “어린이 세계 속 사물의 의미 (The Thing in the World of the child)”
1
Linschoten의 “잠에 떨어지기 경험 (On Falling Asleep)”
1
Linschoten의 “유머에 관하여( On Hum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