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를로퐁티와 현상학적 질적 연구(유혜령)

장바구니에 담기
강좌 제목 메를로퐁티와 현상학적 질적 연구
담당 교수 유혜령
강의 기간 10월 2일 개강 ~ 12월 11일 종강 (총 10강)         수강료: 30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24만원)
강의 시간 매주 목요일 19:00 ~ 22:00 (3시간) 강좌 유형 온라인 전용
강의 개요 인간은 행동하는 신체적 주관과의 관계 속에서 세계를 원초적으로 만난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은 과학화, 객관화되기 이전의 세계에 대한 소박한 접촉을 회복하려는 노력으로, 몸, 공간, 시간, 관계, 사물 등의 체험(lived experience) 속에 만나지는 세계의 의미를 섬세하게 기술, 해석하고 있다. 이는 Max van Manen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론에 중요한 토대를 이루는 이론적 기초로서, 다양한 연구 주제의 질적 연구에서 실존적 의미를 어떻게 탐구해 나갈 것인지 구체적인 방향을 제공해준다.
강사 소개 University of Alberta(캐)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출신교의 질적 연구 전통을 한국의 아동 교육 분야에 접목하여 교육 현상의 제 측면을 인문학적 깊이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현상학·해석학적 접근과 후기구조주의적 시각으로 아동과 교사의 교육적 실존 문제를 연구하며 질적 연구의 방향을 고민해 왔다.
교재 1) 조광제 (2004). 『몸의 세계, 세계의 몸: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강해』. 서울: 이학사.

2) Merleau-Ponty, M. (2002/1945). 『지각의 현상학』(류의근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강의 순서
1강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에 관한 개관
2강 현상적 장과 몸
3강 몸의 지향궁과 몸의 종합
4강 성적 존재로서의 몸
5강 표현으로서의 몸과 언어
6강 감각
7강 공간
8강 사물과 자연적 세계, 타인의 문제
9강 시간성
10강 예시 논문들

 

1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원리

1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유명 고전들과 연구 주제들

1
van den Berg의 “대화 (The Conversation)”

1
van den Berg의 “병상 경험 (Sick in Bed)”

1
van Lennep의 “호텔방 (The Hotel Room)”

1
Buytendijk의 “아기의 첫 미소 (The first smile of the child)”

1
Langeveld의 “어린이 삶에서의 비밀 장소 (“The Secret Place” in the Life of the Child)”

1
Langeveld의 “어린이 세계 속 사물의 의미 (The Thing in the World of the child)”

1
Linschoten의 “잠에 떨어지기 경험 (On Falling Asleep)”

1
Linschoten의 “유머에 관하여( On Hum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