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리스트에 추가
에밀 브레이어(Emile Brehier)의 『서양 철학사』 (류종렬)

강좌 제목 | 에밀 브레이어(Emile Brehier)의 『서양 철학사』- 제 7권 | ||||||||
담당 교수 | 류종렬 | ||||||||
강의 기간 | 9월 30일 개강 ~ 11월 25일 종강 (총 8강) 수강료: 16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2만 8천원) | ||||||||
강의 시간 | 매주 화요일 19:00 ~ 21:00 (2시간) | 강좌 유형 | 온/오프라인 (다시보기 제공) | ||||||
강의 개요 | 19세기 후반은 여러 학문들의 개화시기이다. 생물학에서 생리학, 의학, 심리학이 방향을 잡는다. 이와 달리 수학과 논리학은 개연성의 도입되고, 물리학은 열과 속도에 의한 미시세계로 확대하였다. 1900년 파리에서 세계 철학자 첫 대회를 치루면서, 두 가지 방향의 큰 줄기를 이룬다. 하나는 수학과 논리의 방향이며 언어와 과학이론이 관여하는 인식론이다. 다른 하나는 삶의 터전에 인간의 자유, 이에 따른 문화의 다양성에 탐색에서 인간성의 발현을 탐구한다. | ||||||||
강사 소개 | 류종렬: 벩송 사상에서 생명, 즉 ‘불’의 내재성을, 또한 들뢰즈의 내재성을 탐구하며 양자를 연결하고자 한다. 번역으로는 『프랑스철학사』(로비네), 『르네의 일기(원제: 어느 정신분열증환자의 일기』(셰세이예), 『스피노자』(모로), 『파스칼』(공역), 『처음읽은 베르그송』(바르텔미-마돌), 『깊이읽는 베르그송』(장켈레비치)이 있다, 논문으로 「베르그송의 자유, 그리고 들뢰즈의 반복」등 여러 편이 있다. [마실에서 천사흘밤(http://cafe.daum.net/milletune) 참조] | ||||||||
교재 | 에밀 브레이어(Emile Brehier), 『서양 철학사(Histoire de la philosohie, 1938)』, PUF. 원문을 완역하여 강의록으로 제공합니다. (참조: 다음카페, 마실에서 천사흘밤(http://cafe.daum.net/milletune)] |
||||||||
강의 순서 | |||||||||
1강 | 19세기 후반, 각 분과학문의 생성과 전개 | ||||||||
2강 | 변형론, 진화론, 실증주의, 그리고 종교사상 | ||||||||
3강 | 비판주의(신칸트학파)와 형이상학 | ||||||||
4강 | 니체와 벩송 | ||||||||
5강 | 행동주의, 실용주의, 그리고 관념론 | ||||||||
6강 | 과학비판 대 철학비판 | ||||||||
7강 | 앵글로색슨에서 현상주의 대 프랑스에서 실증주의 | ||||||||
8강 | 심리학의 성립이후 주관주의 경향들 |
1
중세 초기: 보에티우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과 주석
1
10세기와 11세기: 안셀무스와 로스켈리누스
1
12세기: 샤르트르 학파 와 12세기 이단들
1
동방의 철학, 아비세나, 아베로에스
1
13세기: 아리스토텔레스의 확산과 프란체스코파
1
13세기: 토마스 아퀴나스와 옥스퍼드학파
1
14세기: 둔스 스코투스 와 유명론자들
1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의 부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