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리스트에 추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읽기 7

강좌 제목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읽기 7 | ||||||||
담당 교수 | 김진성 | ||||||||
강의 기간 | 4월 1일 개강 ~ 5월 27일 종강 (총 8강) 수강료: 16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2만 8천원) | ||||||||
강의 시간 | 매주 화요일 19:00 ~ 21:00 (2시간) | 강좌 유형 | 온/오프라인 병행 (다시보기 제공) | ||||||
강의 개요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아르케(archē), 즉 존재의 근원과 인식의 근원에 대한 탐구이다. 그는 4권에서 인식의 근원인 모순율을 소개했고, 12권에서는 존재의 근원인 신을 소개하며 우주를 움직이는 불변의 실체로 규정했다. 그 전에 피타고라스는 수를, 플라톤은 이데아를 실체로 보았다. 그가 피타고라스의 수론(數論)과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한 배경을 《형이상학》의 마지막 13~14권을 통해 살펴보며, 2년에 걸친 강독을 마무리한다. 수에 관한 고대 철학자의 사상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앞부분의 내용과 무관하게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온라인 수업도 병행한다. | ||||||||
강사 소개 | 서울대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을 마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연구했다.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서양 철학의 고전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다. 번역서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외 다수가 있다. | ||||||||
교재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김진성 옮김, 서광사 2022. | ||||||||
강의 순서 | |||||||||
1강 | 수학적인 대상과 이데아 (13권) | ||||||||
2강 | 수학의 추상과 이데아론의 배경 (13권) | ||||||||
3강 | 플라톤의 수론 (13권) | ||||||||
4강 | 이데아적인 수 (13권) | ||||||||
5강 | 이데아와 보편자 (13권) | ||||||||
6강 | 반대되는 원리들 (14권) | ||||||||
7강 | 수의 발생과 좋음(善) (14권) | ||||||||
8강 | 수는 사물의 원인이 아니다 (14권) |
1
‘신유물론 사상’ 안에서의 메이야수의 위치
1
상관주의란 무엇인가?
1
선조성과 원화석
1
사실성과 본사실성
1
흄의 문제
1
무모순의 원리와 초카오스
1
코페르니쿠스와 프톨레마이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