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리스트에 추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깊이 읽기 (김진성)

강좌 제목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깊이 읽기 | ||||||||
담당 교수 | 김진성 | ||||||||
강의 기간 | 10월 2일 개강 ~ 12월 11일 종강 (총 10강) 수강료: 20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6만원) | ||||||||
강의 시간 | 매주 목요일 19:00 ~ 21:00 (2시간) | 강좌 유형 | 온/오프라인 (다시보기 제공) | ||||||
강의 개요 |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대중 연설의 기술’(연설술)을 다룬다. 그는 대중을 상대로 연설하는 사람이 갖춰야 할 핵심 지식과 논리를 소개하면서, 플라톤과 달리 대중의 심리도 잘 파악할 것을 요구한다. 이 책에는 행복론뿐만 아니라, 논증론, 감정론도 들어 있어, 그의 윤리학, 논리학, 심리학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총 3권으로 된 이 책을 1권부터 천천히 깊게 읽으면서《수사학》을 제대로 이해하고자 한다. 4학기(1년) 연속 강의로 예정되어 있다. | ||||||||
강사 소개 | 서울대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을 마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연구했다.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서양 철학의 고전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다. 번역서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외 다수가 있다. | ||||||||
교재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시학>, 천병희 옮김, 숲 2017. | ||||||||
강의 순서 | |||||||||
1강 | 연설술의 대상과 방법 (1권 1장) | ||||||||
2강 | 연설술의 정의, 연설의 설득 (1권 2장) | ||||||||
3강 | 연설의 종류와 전제 (1권 3장) | ||||||||
4강 | 조언의 본성과 주제 (1권 4장) | ||||||||
5강 | 조언의 목적, 행복의 요소 (1권 5장) | ||||||||
6강 | 어떤 것들이 좋은가? (1권 6장) | ||||||||
7강 | 더 좋은 것 (1권 7장) | ||||||||
8강 | 더 이로운 것 (1권 7장) | ||||||||
9강 | 다양한 정치체제, 찬양연설 (1권 8~9장) | ||||||||
10강 | 법정연설 (1권 10장) |
1
‘신유물론 사상’ 안에서의 메이야수의 위치
1
상관주의란 무엇인가?
1
선조성과 원화석
1
사실성과 본사실성
1
흄의 문제
1
무모순의 원리와 초카오스
1
코페르니쿠스와 프톨레마이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