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론 강좌

장바구니에 담기

 

강좌 제목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론 강좌 – <봉인된 시간>에서 드러난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미학을 중심으로
담당 교수 정호찬
강의 기간 4월 4일 개강 ~ 5월 16일 종강 (총 7주)         수강료: 14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1만 2천원)
강의 시간 매주 금요일 16:00 ~ 18:00 (2시간) 강좌 유형 온/오프라인 (다시보기 제공)
강의 개요 본 강의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책 <봉인된 시간>을 중심으로 그의 영화 미학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감독은 롱테이크를 중심으로 시적인 영상 미학을 스크린 위에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서 영화가 지닌 이미지의 명멸 과정 안에 고차원적 예술의 실재적 양태를 정립한다. 이러한 타르코프스키의 방법론적 고찰을 통해서 감독의 영화 세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할 것이다.
강사 소개 홍익대 미학과 박사졸업 졸업.
박사논문 「시적 자기의식을 통한 사유와 존재의 통일성 고찰」 2025년.
발표논문 :
「칸트 <순수이성비판>의 「선험적 변증학」에 드러난 귀류법 문제 – 이율배반의 구조와 헤겔의 모순개념을 중심으로」, 칸트연구 51집, 2023년.
「헤겔의 ‘예술의 종말’과 ‘현실’로서의 이념」, 철학논집 48호, 2017년.
교재 봉인된 시간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지음, 김창우 옮김, 분도출판사, 2005년.
시간의 각인 –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지음, 라승도 옮김, 곰출판, 2021년.
매 강의마다 강사 PDF로 수업진행, PDF 필요한 수강생에게는 요청시 제공함.
강의 순서
  1강 시나리오의 최소단위 “비트”와 영화 영상의 최소 단위 “씬/컷”에 대해서 – “안드레이 루블료프(1966)”, “라쇼몽(1950)”, “차이나타운(1974)”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2강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의 분쇄적 몽타주와 타르코프스키의 롱테이크 비교분석 – 촬영과 편집 리듬을 중심으로
  3강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론 – <봉인된 시간>, 「영상」, ‘시간의 조형 예술’을 중심으로 – 영화 “거울(1975)” 분석
  4강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론 – <봉인된 시간>, 「영상」, ‘영상의 형성’과 ‘영화 배우’를 중심으로 – 영화 “솔라리스(1972)” 분석
  5강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와 잉마르 베리만 – <봉인된 시간>에서 드러난 베리만의 영화적 특징 고찰 – “수치(1968)”, “침묵(1963)”을 중심으로
  6강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와 잉마르 베리만 2 – <봉인된 시간>에서 드러난 베리만의 영화적 특징 고찰 – “외침과 속삭임(1972)”을 중심으로
  7강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작품 “희생(1986)”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