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리스트에 추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읽기 6
강좌 제목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읽기 6 | ||||||||
담당 교수 | 김진성 | ||||||||
강의 기간 | 1월 7일 개강 ~ 3월 5일 종강 (총 8강) 수강료: 16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2만 8천원) | ||||||||
강의 시간 | 매주 화요일 19:00 ~ 21:00 (2시간) | 강좌 유형 | 온/오프라인 병행 (다시보기 제공) | ||||||
강의 개요 | 지난 다섯 번째 강좌에서 《형이상학》 10권까지 읽었다. 이번 강좌에서는 11권과 12권을 읽는다. 11권은 형이상학과 자연학의 다양한 논의들을 반복한 부분으로 이전 강의를 요약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12권은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정점인 신에 관한 논의가 나온다. 신이 스스로는 변하지 않으면서 모든 변화의 근원, 즉 부동의 원동자로 설명되면서 순수 사유 존재로서 소개된다. 새로운 수강생들을 위해 이전 강좌를 전반적으로 요약하면서 첫시간을 시작한다. 온라인 수강도 가능하다. | ||||||||
강사 소개 | 서울대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을 마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연구했다.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서양 철학의 고전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다. 번역서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외 다수가 있다. | ||||||||
교재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김진성 옮김, 서광사 2022. | ||||||||
강의 순서 | |||||||||
1강 | 이전 강좌 요약; 철학의 본질 (11권 1~2장) | ||||||||
2강 | 철학의 대상과 인식의 원리 (11권 3장~6장) | ||||||||
3강 | 신학, 수학, 자연학 (11권 7~9장) | ||||||||
4강 | 운동과 변화 (11권 10~11장) | ||||||||
5강 | 실체의 종류와 변화의 요소 (11권 12장~12권 2장) | ||||||||
6강 | 잠재/가능 상태와 발휘/실현상태 (12권 3~5장) | ||||||||
7강 | 부동의 원동자 (12권 6~8장) | ||||||||
8강 | 신의 존재 방식 (12권 9~10장) |
1
‘신유물론 사상’ 안에서의 메이야수의 위치
1
상관주의란 무엇인가?
1
선조성과 원화석
1
사실성과 본사실성
1
흄의 문제
1
무모순의 원리와 초카오스
1
코페르니쿠스와 프톨레마이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