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리스트에 추가
『임상사례로 읽는 라캉의 정신분석』 강독 (손성우)

강좌 제목 | 『임상사례로 읽는 라캉의 정신분석』강독: 구체적 사례를 통한 라캉 개념에 대한 분명한 윤곽잡기 | ||||||||
담당 교수 | 손성우 | ||||||||
강의 기간 | 10월 2일 개강 ~ 12월 11일 종강 (총 10강) 수강료: 20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6만원) | ||||||||
강의 시간 | 매주 목요일 19:00 ~ 21:00 (2시간) | 강좌 유형 | 온/오프라인 (다시보기 제공) | ||||||
강의 개요 | 죽음욕동, 공백, 대타자의 주이상스, 위상학의 정신분석… 그동안‘텅빈 말(empty speech)’로 라캉을 받아들이신 것은 아닌지요? 본 수업은『임상사례로 읽는 라캉의 정신분석』(다니엘로 브리오 저, 박영진 역, 한동네, 2022)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라캉 이론과 개념에 대한 보다 분명한 윤곽을 잡고, 명확한 이해를 꾀하고자 합니다. 마치 피안의 대상처럼 애매모호한 라캉 이론과 개념 이해의 공회전을 멈추게 할 임상 사례를 통한 강독 수업은 라캉 이해에 있어 일종의 정박점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한편으로 최근에 나온 대중영화 텍스트 분석을 함께 실습해보는 시간 또한 가져보려고 합니다. | ||||||||
강사 소개 | <한국사회정신분석연구소>연구원이며, 지금까지 총 26편의 KCI급 등재지 연구논문 실적이 있으며, 주로 영화(DBpia 영화 분야 연구 상위5%에 해당) 및 한국사회, 역사와 라캉을 연계한 연구들입니다. 「물신주의적 부인으로서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 공모와 향유를 중심으로」,『현대정신분석』27권2호, 「만날 수 없기에 헤어지려고 하다: 영화〈헤어질 결심〉의 성차(性差)와 어긋남 」,『영화연구』 94호,「영화 <조커>의 세 무대: 서사적 아이러니와 실재적 웃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83호,「영화 <기생충>의 욕망의 자리와 환상의 윤리」,「영화 <버닝>: 주체의 욕망이 상연되는 팬터마임- 환상의 무대, 그리고 트라우마」, 『영화연구』77호, 『영화연구』81호, 「또 하나의 가족, 미디어와 타자의 욕망 – 1인가구의 계보학과 정체성」, 『기호학연구』 60호, 「누구를 위한 기념일인가? – 기념일에 관한 라캉과 알튀세르적 접근」. 『기호학연구』57호 등이 있으며 저서로『영화라는 만화경을 통해 라캉을 읽다』(2025, 시간의 물레 ISBN :9788965114901), 공저로 『부산영화사』 (2021,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ISBN : 9788973167036)가 있습니다. | ||||||||
교재 | 『임상사례로 읽는 라캉의 정신분석』(다니엘로 브리오 저, 박영진 역, 한동네, 2022) | ||||||||
강의 순서 | |||||||||
1강 | 서문, 수업1 라파엘르, 수업2 아리망 (8-47쪽) | ||||||||
2강 | 수업3 앙투안 (48-78쪽) | ||||||||
3강 | 수업4 니콜르 (79-106쪽) | ||||||||
4강 | 수업5 <도둑맞은 편지>에 관한 세미나 연구, 수업6 에밀리 (107-154쪽) | ||||||||
5강 | 수업7 카치, 드리스, 자키 (155-177쪽) | ||||||||
6강 | 수업8 마린느, 수업9 마르크에서 레오노라까지 (178-232쪽) | ||||||||
7강 | 수업10 펠리시테, 수업11 실비와 마리 알릭스 (233-288쪽) | ||||||||
8강 | 수업12 나타샤 (289-307쪽) | ||||||||
9강 | 수업13 아네스, 수업14 쥐스틴느, 안젤리크, 마릴린 (308-361쪽) | ||||||||
10강 | 수업15 퀭탱 (362-418쪽) |
1
개념지형 그리기: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1부 애도, 슬픈 노동
1
2부 대상의 그림자에 갇히다.
1
3부 당신을 먹고 당신이 되다.
1
4부 멜랑꼴리, 초자아의 만찬식
1
5부 감정의 민간요법에서 우울의 정신분석으로
1
6부 멜랑꼴리의 검은 구멍
1
7부 죽어있는 삶인가 살아있는 죽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