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시리스트에 추가
라캉 기본 입문서: 핑크의 <라캉의 주체> 10주 완전정복
강좌 제목 | 라캉 기본 입문서: 핑크의 <라캉의 주체> 10주 완전정복 | ||||||||
담당 교수 | 손성우 | ||||||||
강의 기간 | 1월 9일 개강 ~ 3월 20일 종강 (총 10강) 수강료: 20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6만원) | ||||||||
강의 시간 | 매주 목요일 19:00 ~ 21:00 (2시간) | 강좌 유형 | 온/오프라인 병행 (다시보기 제공) | ||||||
강의 개요 | 시중에 라캉 입문서는 난무하지만, 대개 지엽적이고 피상적이거나 미학, 문화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게 대부분이거나 라캉 기본 개념을 나름대로 요약(요약이 오히려 문제!)한 모 소책자 입문서의 경우 중요한 기본 개념이 자리 잡은 이론적 틀과 지평을 과감히 삭제했기에 오히려 개념 정립과 이해에 선입견과 혼란을 주기 쉽습니다. (너무 쉽거나 엉뚱한 오인을 주기 쉬운 ‘매끈한 입문서’들에 현혹되지 않는다면) 라캉 입문에 있어 독보적인 기본서로 이미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 있는 책이 브루스 핑크의 <라캉의 주체: 언어와 향유 사이에서>입니다. 본 수업은 이 책을 교재로 삼아 10주 동안 치밀하게 강독하고자 합니다. 차후 라캉의 세미나와 에크리 등을 공부하거나 라캉주의 책과 논문을 읽는 데 있어 뼈대가 되는 기본 개념을 단단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영화, 사회현상, 문화 등을 비롯한 풍부한 사례와 밀도 있는 설명으로 라캉 기본서가 가진 나름의 문턱을 어렵지 않게 넘는 기회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 ||||||||
강사 소개 | <한국사회정신분석연구소>연구원이며, 2016년 이후 지금까지 총 25편의 KCI급 등재지 연구논문 실적이 있으며, 주로 영화(DBpia 영화 분야 연구 상위5%에 해당) 및 한국사회, 역사와 라캉을 연계한 연구들입니다. 「외상적 만남으로서의 반복의 역사성: 2016년 촛불집회와 태극기 집회」,『현대정신분석』26권2호, 「만날 수 없기에 헤어지려고 하다: 영화〈헤어질 결심〉의 성차(性差)와 어긋남, 」,『영화연구』 94호,「영화 <조커>의 세 무대: 서사적 아이러니와 실재적 웃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83호,「영화 <기생충>의 욕망의 자리와 환상의 윤리」,「영화 <버닝>: 주체의 욕망이 상연되는 팬터마임- 환상의 무대, 그리고 트라우마」, 『영화연구』77호, 『영화연구』81호, 「또 하나의 가족, 미디어와 타자의 욕망 – 1인가구의 계보학과 정체성」, 『기호학연구』 60호, 「누구를 위한 기념일인가? – 기념일에 관한 라캉과 알튀세르적 접근」. 『기호학연구』57호 등이 있으며 공저로 『부산영화사』 (2021,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ISBN : 9788973167036)가 있습니다. (들뢰즈적 관점에서 볼 때) 태생이 보수적 학문이었던 정신분석으로 어떻게 다른 삶과 보다 나은 사회를 꿈꾸고, 실천하고, 살아갈 수 있을지가 관심사입니다. | ||||||||
교재 | 브루스 핑크, 이성민 역, 『라캉의 주체: 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도서출판 b, 2010.
*보조교재(수업마다 인용해서 교안으로 제공. 따로 구입하실 필요없음) : 딜런 에반스, 김종주 역, 『라깡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랑, 1998. |
||||||||
강의 순서 | |||||||||
1강 | 서문, 1장. 언어와 타자성 | ||||||||
2강 | 2장. 무의식적 사고의 본성, 혹은 다른 절반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 ||||||||
3강 | 3장. 말의 창조적 기능: 상징계의 실재 | ||||||||
4강 | 4장. 라캉적 주체 | ||||||||
5강 | 5장. 주체, 그리고 타자의 욕망 | ||||||||
6강 | 6장. 은유와 주체성의 재촉 | ||||||||
7강 | 7장. 대상 (a): 욕망의 원인 | ||||||||
8강 | 8장. 성적 관계 같은 것은 없다 | ||||||||
9강 | 9장. 네 가지 담화 | ||||||||
10강 | 10장. 정신분석과 과학 |
1
개념지형 그리기: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1부 애도, 슬픈 노동
1
2부 대상의 그림자에 갇히다.
1
3부 당신을 먹고 당신이 되다.
1
4부 멜랑꼴리, 초자아의 만찬식
1
5부 감정의 민간요법에서 우울의 정신분석으로
1
6부 멜랑꼴리의 검은 구멍
1
7부 죽어있는 삶인가 살아있는 죽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