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아카데미 http://www.acaphilo.or.kr 철학, 인문학, 강의, 온라인 강의, 고전어, 미학 <![CDATA[[제 4기 문화촌 토요 인문학] 3회.약자를 위한 자유주의 _ 박정하 (11월 1일, 토요일 오전 11시)]]> 차가운 날씨가 섞인 가을 날입니다. 이번 주말에 열리는
제4기 문화촌 토요 인문학 3회박정하 선생님의 "약자를 위한 자유주의: 2시간에 끝나는 밀 자유주의론"
으로 진행됩니다. 많은 분들의 참가를 부탁 드립니다. 간단한 다과와 따뜻한 커피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멀리 계신 분들은 유튜브 라이브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주제: 약자를 위한 자유주의: 2시간에 끝나는 밀 자유주의론 _ 박정하 (서울대학 철학박사, 성균관대)
간: 11월 1일(토) 오전 11:00~12:30
장소: 철학아카데미 대강의실  (홍제역 1번 출구에서 도보로 10분)
* 유튜브 라이브
]]>
Wed, 29 Oct 2025 14:13:16 +0000
<![CDATA[가을학기 특강 폐강 안내]]> 2025년 가을학기 특강: "정치에 관한 9가지 성찰"은 수강생 미달로 폐강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겨울학기에 더 알차게 구성해서 다시 여러분께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ue, 28 Oct 2025 14:01:38 +0000 <![CDATA[오늘 10월 23일 “가을학기 특강: 정치에 관한 9가지 성찰”의 1강은 무료로 진행합니다]]> 오늘 “가을학기 특강: 정치에 관한 9가지 성찰”의 첫 번째 강의는 홍보 기간이 짧아 무료로 진행합니다. 원하시는 분들은 누구든 줌 회의 링크로 접속하셔서 강의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철학아카데미로 직접 오셔서 들으셔도 좋습니다. 주제는 김진성 선생님의 “플라톤의 철인왕 – 철학자는 통치자가 될 수 있는가?”입니다. 2~9회를 계속해서 들으실 분들은 수강 신청을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주제: 플라톤의 철인왕 - 철학자는 통치자가 될 수 있는가? _ 김진성 (정암학당 연구원) 시간: 10월 23일(목) 저녁 7~9시 줌 링크:

https://us06web.zoom.us/j/88244702497?pwd=QpJenzeAncSBeg4A3PE4h3xeTE0hun.1

회의 아이디: 882 4470 2497

암호: 874465

]]>
Thu, 23 Oct 2025 13:06:12 +0000
<![CDATA[[제4기 문화촌 토요 인문학] 2회. 밀도 높은 사회와 허술한 자아 _ 조광제 (10월 25일, 토요일 오전 11시)]]>
제4기 문화촌 토요 인문학 2회조광제 선생님의 "밀도 높은 사회와 허술한 자아"로 진행됩니다.
많은 분들의 참가를 부탁 드립니다. 간단한 다과와 따뜻한 커피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멀리 계신 분들은 유튜브 라이브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시간: 10월 25일(토) 오전 11:00~12:30 장소: 철학아카데미 대강의실 *유튜브 라이브 https://www.youtube.com/@%EC%B2%A0%ED%95%99%EC%95%84%EC%B9%B4%EB%8D%B0%EB%AF%B8-f5e/streams
주제: 밀도 높은 사회와 허술한 자아_조광제 (철학아카데미 이사장)소개: 1960년대에 TV와 위성 통신이 활용됨으로써 지구 전체를 하나의 마을처럼 연결한다고 해서 ‘지구촌’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1989년에 교통과 통신이 고도로 발달했다고 해서 ‘시공간 압축’이란 말이 나왔습니다.
오늘날은 무선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발달해 각자의 손에 모든 정보가 집중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튜브 및 유튜브 쇼츠의 발달은 TV를 마치 그 특정한 장르처럼 만들어 주변화했고,
각종 SNS 장치들을 통해 원하기만 한다면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해서 전 지구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같이 한없이 밀도가 높아진 2025년 현재 우리가 사는 사회야말로 시공간 압축이 극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개인과 사회 사이에 대대적인 역설이 성립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로 인해 개인이 한없이 작은, 마치 미세한 안개 방울과 같은 존재로,
이른바 허술하기 짝이 없는 자아로 위축된다는 사실입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
Wed, 22 Oct 2025 17:35:49 +0000
<![CDATA[10월 17일(금) 오후 5시부터 카톡 불통 중]]> Fri, 17 Oct 2025 20:19:02 +0000 <![CDATA[제4기 문화촌 토요 인문학 1회 (10월 18일) 토요일 오전 11시]]>
제4기 문화촌 토요 인문학이 이번주 토요일에 시작됩니다. 첫회는 임성진 선생님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민주정"으로 진행됩니다. 많은 분들의 참가를 부탁 드립니다. 간단한 다과와 따뜻한 커피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멀리 계신 분들은 유튜브 라이브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제목: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민주정_임성진 (정암학당 연구원) 소갯글: 플라톤의 『국가』, 『정치가』, 『법률』,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아테네 정체』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민주정이 무엇인지, 그들이 고대 그리스의 정체 중 민주정을 나쁜 정체로 여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들에게 민주정을 긍정적으로 볼 여지는 없는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시간: 10월 18일(토) 오전 11:00~12:30 장소: 철학아카데미 대강의실 *유튜브 라이브 https://www.youtube.com/@%EC%B2%A0%ED%95%99%EC%95%84%EC%B9%B4%EB%8D%B0%EB%AF%B8-f5e/streams
]]>
Thu, 16 Oct 2025 20:18:03 +0000
<![CDATA[25가을_조광제외 8인(목)_가을학기 특강: 정치에 관한 9가지 철학적 성찰]]>

]]>
Sat, 11 Oct 2025 16:36:58 +0000
<![CDATA[후원회원 여러분을 위해 세미나 공간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후원회원 세미나> 신청 게시판(바로가기)을 만들었습니다. 세미나를 무료로 개설해서 진행하길 원하시는 철학아카데미 후원회원분들은 이곳에서 게시글로 신청해 주세요. 특정 주제를 연구하는 모임도 좋고, 철학이나 문학 등 인문학 서적을 함께 읽거나 영화를 감상하는 모임도 좋습니다. 철학아카데미의 취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임이면 누구나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세미나 공간은 편하실 대로 <철학아카데미 소강의실>이나 <줌화상회의>로 매주 1회(10회까지 가능), 최대 3시간 마련해 드립니다. 커피, 음료, 간단한 다과도 제공됩니다. 세미나를 주도하실 한 분이 원하시는 세미나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게시글>을 작성하여 신청하시고, 이에 참여를 원하시는 회원분들이 <댓글>로 참여 의사를 밝히시면 됩니다. ]]> Sat, 11 Oct 2025 13:51:34 +0000 <![CDATA[후원회원 여러분을 위해 세미나 공간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안녕하세요, 철학아카데미 후원회원 여러분! 여러분의 한결 같은 후원과 성원에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더 나은 모습을 보여드리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후원회원분들을 위해 <후원회원 세미나> 신청 게시판을 만들었습니다. 세미나를 무료로 개설해서 진행하길 원하시는 철학아카데미 후원회원분들은 이곳에서 게시글로 신청해 주세요. 특정 주제를 연구하는 모임도 좋고, 철학이나 문학 등 인문학 서적을 함께 읽거나 영화를 감상하는 모임도 좋습니다. 철학아카데미의 취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임이면 누구나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세미나 공간은 편하실 대로 <철학아카데미 소강의실>이나 <줌화상회의>로 매주 1회(10회까지 가능), 최대 3시간 마련해 드립니다. 커피, 음료, 간단한 다과도 제공됩니다. 세미나를 주도하실 한 분이 원하시는 세미나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게시글>을 작성하여 신청하시고, 이에 참여를 원하시는 회원분들이 <댓글>로 참여 의사를 밝히시면 됩니다. ]]> Sat, 11 Oct 2025 13:46:52 +0000 <![CDATA[연속 강좌는 지난 학기 강의 동영상이 무료로 제공됩니다]]> Tue, 30 Sep 2025 16:51:08 +0000 <![CDATA[연속 강좌는 지난 학기 강의 동영상이 무료로 제공됩니다]]> 이번 가을학기에 연속 강좌 과목을 새로 들으시는 분들은

여름학기의 동영상과 수업자료가 무료로 제공됩니다.

해당 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 노영덕_ 미학, 철학사와 함께 12

(화) 이동용 _ 한강의 영원 공식

(화) 류종렬 _ 에밀 브레이어의 <서양 철학사> 7권

(목) 김진성 _ 초급 라틴어 3

 

]]>
Tue, 30 Sep 2025 16:50:06 +0000
<![CDATA[가을학기를 소개합니다! 개강일 9월 29일(월)]]> 안녕하세요, 철학아카데미 후원회원, 수강생 여러분! 여러분의 꾸준한 관심과 성원에 힘 입어 철학아카데미가 4반세기가 넘도록 시민교육의 선도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2025년 가을학기가 다음 주 9월 29일(월)에 시작합니다. 이번 학기에는 열 네 분의 선생님께서 21개의 강좌를 진행하십니다. 서양 고전에 대한 깊은 이해에 필수적인 고전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시작하여,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을 직접 읽는 강의가 있습니다. 니체와 하이데거로 독일철학사상이 소개되고, 연속강좌인 서양 미학사와 서양 철학사가 19~20세기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프랑스철학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라캉, 들뢰즈, 데리다에서 최근의 브뤼노 라튀르에 이르는 관련 강의를 추천합니다. 한강 소설에 관한 철학적 접근이 3학기째 이어지고, 미국의 민주주의에 관한 정치철학 강의가 새로 마련되었습니다. 질적 연구에 관한 두 개의 온라인 강좌는 꾸준한 관심과 참여로 계속되고 있습니다. 철학아카데미는 여러분과 소통하며 강의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관심 있는 주제와 원하시는 강사님들을 소개해 주시면 다음 학기에서 잘 반영하여 자리를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수강 신청은 메일이나 전화로 하실 수 있습니다.

메일(acaphilo1@naver.com), 전화(02-2279-2871)

희망하시는 강좌제목을 알려주시고, 수강료는 우리은행 1005-704-680325, 예금주: 주식회사 아카필로로 입금하시면 됩니다. 가을학기 강의계획서는 <강의계획서> 게시판에서 상세히 볼 수 있습니다. 강의 시간표 – 철학 아카데미 ]]>
Wed, 24 Sep 2025 18:25:06 +0000
<![CDATA[2025년 가을학기가 다음주 9월 29일에 시작합니다!]]> 안녕하세요, 철학아카데미 후원회원, 수강생 여러분!

여러분의 꾸준한 관심과 성원에 힘 입어 철학아카데미가 4반세기가 넘도록 시민교육의 선도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2025년 가을학기가 다음 주 9월 29일(월)에 시작합니다. 이번 학기에는 열 네 분의 선생님께서 21개의 강좌를 진행하십니다. 서양 고전에 대한 깊은 이해에 필수적인 고전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시작하여,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을 직접 읽는 강의가 있습니다. 니체와 하이데거로 독일철학사상이 소개되고, 연속강좌인 서양 미학사와 서양 철학사가 19~20세기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프랑스철학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라캉, 들뢰즈, 데리다에서 최근의 브뤼노 라튀르에 이르는 관련 강의를 추천합니다. 한강 소설에 관한 철학적 접근이 3학기째 이어지고, 미국의 민주주의에 관한 정치철학 강의가 새로 마련되었습니다. 질적 연구에 관한 두 개의 온라인 강좌는 꾸준한 관심과 참여로 계속되고 있습니다.

철학아카데미는 여러분과 소통하며 강의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관심 있는 주제와 원하시는 강사님들을 소개해 주시면 다음 학기에서 잘 반영하여 자리를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수강 신청은 메일이나 전화로 하실 수 있습니다. 희망하시는 강좌제목을 알려주시고,

수강료는 우리은행 1005-704-680325, 예금주: 주식회사 아카필로로 입금하시면 됩니다.

가을학기 강의계획서는 <강의계획서> 게시판에서 상세히 볼 수 있습니다.

강의 시간표 – 철학 아카데미

 

]]>
Wed, 24 Sep 2025 18:09:39 +0000
<![CDATA[25가을_김진성(금)_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자와 본질에 관하여》 읽기 (10월 17일 개강)]]>

]]>
Wed, 24 Sep 2025 15:20:52 +0000
<![CDATA[25가을_조광제(화)_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서문」과 「서론」읽기 3 (10월 14일 개강)]]>

]]>
Thu, 11 Sep 2025 20:10:49 +0000
<![CDATA[2025년 가을학기 개강일은 9월 29일(월)입니다]]> 2025년 가을학기 개강일은 9월 29일(월)입니다.

가을학기 강의계획서는 <강의계획서> 게시판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www.acaphilo.or.kr/%ea%b0%95%ec%9d%98%ec%8b%9c%ea%b0%84%ed%91%9c/

]]>
Wed, 10 Sep 2025 16:57:50 +0000
<![CDATA[25가을_노영덕(월)_미학, 철학사(史)와 함께 12 (9월 29일 개강)]]>

]]>
Wed, 10 Sep 2025 16:39:24 +0000
<![CDATA[25가을_이상복(화)_핵심 주제와 개념들을 통해 『존재와 시간』 이해하기 (10월 14일 개강)]]>

]]>
Wed, 10 Sep 2025 16:38:24 +0000
<![CDATA[25가을_김진성(목)_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깊이 읽기 (10월 2일 개강)]]>

]]>
Wed, 10 Sep 2025 16:37:07 +0000
<![CDATA[25가을_김진성(목)_초급 라틴어 3 (10월 2일 개강)]]>

]]>
Wed, 10 Sep 2025 16:36: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