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읽는 프로이트

장바구니에 담기

 

강좌 제목 프로이트 새롭게 읽기
담당 교수 권택영
강의 기간 1월 9일 개강 ~ 3월 20일 종강 (총 10강)         수강료: 20만원 (청소년, 후원회원 16만원)
강의 시간 매주 목요일 17:00 ~ 19:00 (2시간) 강좌 유형 온라인 전용 (다시보기 제공)
강의 개요 프로이트 <새롭게> 읽기는 첫째, 원문을 충실히 읽는다. 다른 비평가들의 비판과 재해석이 아닌 원문 자체를 꼼꼼히 읽어 주요 개념들을 명확히 이해한다. 둘째, 그동안 간과된 뇌과학자로서 그를 이해한다. 서로 연결되지만 대략 주체 형성에 관한 글, 성과 사랑, 미학론, 문명과 사회, 정신분석치료, 뇌과학으로 원문을 분류해볼 수 있는데 이번 강의는 가장 핵심이 되는 주체 형성에 관한 강의다. 공격성, 동물성, 거울단계, 반복강박, 죽음충동, 에고, 이드 등, 주요 개념을 공부한다.
강사 소개 경희대학교 졸업 후 미국 네브래스카 대학교에서 영문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고 경희대학교 에 재직, 현재 명예교수이다. 1990년대 한국에 포스트모더니즘을 소개했고 라캉 편역서, 󰡔욕망이론󰡕이 주목받으면서 프로이트 한글 번역의 계기가 된다. 프로이트, 라캉, 현상학, 미학, 문학을 연결한 17권의 저술서를 발간했고 그 가운데 2권은 미국 Rowman & Littlefield 에서 출판했다. 2017년 Nabokov’s Mimicry of Freud: Art as Science ; 2024년 프로이트와 제임스 심리학을 뇌과학과 융합한 Psychology in the Fiction of Henry James: Memory, Emotion, and Empathy.

국제 학술지(A&HCI) 논문게재: 2010년, New Literary History (41.1호, 213-232)에 프로이트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였고 2011년 프로이트가 1930년대에 미국에 창간한 저널, American Imago (68.1호, 67-91)에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2015년 Henry James Review (36호 148-162)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2016년 인문학과 정신의학의 융복합을 시도한 공동연구, “Empathy in Medical Education” 을 미국 Nova Biomedical 출판사의 Psychology and Neurobiology of Empathy ( Eds. Watt, Douglas F. & Jaak Panksepp)에 수록함.

2012년-2017년 연구재단의 우수학자로 선정, 여러 번 저술서가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다. 정신분석과 뇌과학을 융합한 최근 책으로 2018, 󰡔생각의 속임수: 인공지능이 따라하지 못할 인문학적 뇌』(한국연구재단 저술지원), 2021 『감정연구: 따뜻하고 친근한 감정의 힘』 (2022년 세종도서 선정) 이 있다. 16회 이상 국제 학술대회에서 키노트를 포함한 발표. 김환태 평론상 수상(1997),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회장(2002~2004), 미국소설학회 회장 (2005-2007), 한국아메리카학회 회장(2009) 역임.

교재 제임스 스트라치(James Strachey)가 편집하고 번역한 영문본, <스탠다드 에디션> (Standard Edition) 은 현재 모든 나라에서 프로이트에 관한 논문이나 저술서에서 통용되는 전집이다. 본강의는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 of Sigmund Freud. (Hogarth Press) 에서 발췌하고 수강자가 프린트할 수 있도록 스캔하여 이메일로 보냅니다. 강의는 우리말로 핵심 부분들을 뽑아 설명합니다.
강의 순서
1강 나르시즘에 대하여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1914) SE 14: 73-102. (73-87면)

2강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1914) SE 14: 73-102. (88-102면)
3강 애도와 우울증

Mourning and Melancholia (1917[1915]) SE 14: 237-258.

4강 정신분석의 과정에서 어려움

A Difficulty in the Path of Psycho-Analysis (1917) SE 17: 137-144.

5강 쾌락원칙을 넘어서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1920) SE 18: 1-64. (1-23면) 반복강박

6강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1920) SE 18: 1-64. (24-43면) 죽음충동
7강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1920) SE 18: 1-64. (44-64면) 이원적 일원론
8강 에고와 이드

The Ego and the Id (1923) SE 19: 1-59. (12-27면)

9강 The Ego and the Id (1923) SE 19: 1-59. (28-47면)
10강 The Ego and the Id (1923) SE 19: 1-59. (48-59면)